인터렉션 디자인 (Interaction Design) 프로젝트

인터렉션 디자인 프로젝트 리뷰 (5) - 게슈탈트 원칙 (Gestalt Principle)

jay_the_code 2025. 7. 4. 10:40

이번 프로젝트 진행할 때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에
활용한 게슈탈트 원칙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게슈탈트 원칙(Gestalt Principle)은 인간이
시각적인 정보를 어떻게 전체적인 형태로 인식하는지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평소에 우리는 어떤 것을 볼때 무의식적으로
형태, 구조, 패턴을 조직화해서 의미 있는 전체로
인식합니다.

이렇게 인식하는 패턴을 정리한 이론이
바로 게슈탈트 원칙입니다.

근접의 원칙 (Proximity)

사람들은 서로 가까이에 위치한 요소들은
서로 관련이 되어있다고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버튼을 보고
그 옆에 문구를 확인한다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그 문구를 버튼에 대한 설명으로 인식합니다.

proximity - gesalt principle

 유사성의 원칙 (Similarity)

색상, 모양, 크기 등이 유사한 요소들은
같은 그룹이라고 인식됩니다.

예를 들어 무수히 많은 정사각형이 있는
벽을 생각해봅시다.

이때 벽 중앙에 9개의 정사각형이
같은 크기와 색상을 가진다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그 정사각형을 하나의 묶음으로
인식합니다.

similarity - gestalt principle

연속성의 원칙 (Continuation / Continuity)

우리의 시선은 부드럽고 연속적인 경로를 따라서
움직이고 이때 선이나 곡선이 끊기지 않는다고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벽에 지렁이 모양으로 일정한 간격을
띄워서 점을 찍혀있다고 가정합시다.

점들은 붙어있지 않지만 우리는 그 점들이
지렁이 모양을 하고 있다고 자연스럽게 인식합니다.

Continuity - gestalt principle

 폐쇄의 원칙 (Closure)

어떤 모양의 일부가 가려지거나 생략되더라도
우리의 뇌는 전체의 형태를 채워서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점선으로 원을 그린다면 간격이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원으로 인식합니다.

Closure - gestalt principle

도형과 배경의 원칙 (Figure and Ground)

다양한 요소들이 있을 때 한 가지 요소에 집중하면
그것은 도형으로 인식되고 나머지는 배경으로
인식합니다.

루딘의 잔

위 이미지는 덴마크의 심리학자 에드가 루딘이
고안한 루딘의 잔이라는 작품입니다.

여러분들은 꽃병과 두 사람 중 어떤 것이 먼저 인식되시나요?

우리가 흰색 잔에 집중하면 나머지 검은 부분은
배경으로 인식합니다.

반대로 사람의 얼굴에 집중하면 나머지 흰색 잔은
배경으로 인식합니다.

공통 운명의 원칙 (Common Fate)

우리는 같은 방향이나 속도로 움직이는 요소들을
같은 묶음으로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무작위 방향으로 날아가는 화살표들이
있는 화면이 있다고 상상해 봅시다.

이때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화살표들이
등장하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그 화살표들을
하나의 무리로 인식합니다.

Common Fate - gestalt principle

연결의 원칙 (Connectedness / Uniform Connectedness)

물리적으로 선이나 배경으로 연결된 요소들은
같은 묶음으로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 이미지에서
선으로 연결된 원들을 우리는
같은 묶음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Connecedness - gestalt principle

지역성의 원칙 (Region / Common Region)

같은 테두리나 영역 안에 있는 요소들은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됩니다.

Common Region - gestalt principle

위 이미지에서 테두리 안쪽의 원들을
우리는 서로 관련이 있다고 인식합니다.

대칭의 원칙 (Symmetry)

대칭적인 요소는 안정적이고 완전하게 인식합니다.

Symmetry - gestalt principle

위 이미지에서 왼쪽과 오른쪽 어떤 쪽이
안정적이라고 느끼시나요?

보시는 것과 같이 우리는 대칭적인 구조를
시각적으로 더 편안하게 느낍니다.

경험 기반 인식 (Past Experience)

우리는 과거의 경험에 따라서 형태를
자동으로 해석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익숙한 글자나 기호는
일부만 보여도 전체를 인식합니다.

게슈탈트 원칙을 잘 이용하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고 무의식적으로 어떤 디자인을
설득시키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게슈탈트 원칙을 마지막으로 인터렉션 디자인
프로젝트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