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렉션 디자인 (Interaction Design) 프로젝트

인터렉션 디자인 프로젝트 리뷰 (2) - 인터뷰

jay_the_code 2025. 7. 1. 10:00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이번 프로젝트는 모르는 사람에게
집에서의 4가지 웰빙에 대해서 인터뷰를 진행하고
팀원들의 인터뷰를 종합해서 4가지 중 하나의 웰빙을
선정하여 그것에 관련된 것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인터뷰 대상

가장 먼저 진행한 것은 인터뷰 대상을 선정하였습니다.

우선 청소년은 인터뷰 대상으로 지정할 수 없는 조건이
있었고 팀 구성원이 5명인데 한 사람당 한 인터뷰만 진행이
가능하였기에 최대한 표본들이 겹치지 않게 진행하였습니다.

저는 20대 초반 여성분을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인터뷰 질문

무작위 인터뷰 특성상 인터뷰의 흐름을 전부 예상할 수는
없었기에 꼭 필요한 핵심 질문들만 준비하고 세부적인
질문은 대화를 하면서 결정하기로 하였습니다.

집에서의 웰빙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필수 질문들을
공통적으로 진행하였습니다.

1. 현재 거주 상황
- 가족과 함께 지내는가?
- 집을 쉐어하는가?
- 방을 혼자 사용하는가?

먼저 현재 어떤 방식으로 거주하고 있는지
파악하였습니다.

2. 외향인 / 내향인
- 외향적이고 집 밖에서 주로 생활하는가?
- 내향적이고 집 안에서 주로 생활하는가?

성격에 따라 집에 얼마나 오래 머무르는지
파악할 수 있는 질문을 하였습니다.

3. 직장생활
- 프리랜서인가요?
- 학생인가요?
- 직장생활을 하고 계신가요?
- 재택근무를 많이 하는 편이신가요?

현재 인터뷰를 진행하시는 분의 상황에 대해서
더 자세히 파악하고 집에서 어떤 활동을 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질문을 하였습니다.

4. 실생활 속 만족감
- 집에서 어떤 상황에서 기분이 좋아지시나요?
- 집에서 즐기는 취미 생활이 있으신가요?

집에서 어떤 일이 발생할 때 기분이 좋아지는지 혹은
편안한 감정을 느끼는지 질문하였고 답변에 따라서
그런 활동들과 항상 함께하는 부가적인 활동이 있는지
질문하였습니다.
ex) 항상 노래를 들으면서 설거지를 한다.

5. 실생활 속 불편함
- 집에서 어떤 상황에서 불편함이나 불쾌함을 느끼시나요?

어떠한 상황에서 집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지
알아보았습니다.

5.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
- 그럼 그런 불편함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따로 노력을 하시나요?

집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상황을 조사하고
그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는지 하고 있다면
어떠한 행동을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유사성 다이어그램 (Affinity Diagram)

이렇게 총 5번의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인터뷰의 내용들을 정리하여 파악하기 위해
유사성 다이어그램을 작성하였습니다.

인터뷰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터뷰에서 Mental Wellbeing
우선순위에 두었고 집에서는 편안하게 있고 싶다는 것을
공통적으로 언급하였습니다.

또한 냄새와 소리가 Mental Wellbeing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파악하였습니다.

음식물 쓰레기 혹은 음식 냄새가 집에서 계속 날 때
불쾌함을 느낀다고 언급을 많이 하였고
밖에서 들어오는 시끄러운 소리 또한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반대로 좋아하는 향이 집에서 날 때 그리고 좋아하는
노래를 들을 때 스트레스가 풀린다는 정보 또한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프로젝트 방향 설정

위 인터뷰를 진행한 후에 향, 소리, 스트레스 해소
3가지 요소에 집중한 디바이스와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면 좋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저는 향, 소리, 스트레스 해소를 전부 포함하기 위해
심박수를 탐지할 스마트 워치,
디바이스를 컨트롤할 어플리케이션,
소리가 나는 아로마 디퓨저
3가지 구성 요소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아이디어를
제공하였고 회의를 통해 진행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프로젝트 방향을 설정한 후에는 프로토타입 제작 전에
페르소나를 먼저 제작하여 사용자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는 단계를 진행하였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페르소나 단계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