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엑셀 함수(Excel Function)에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차트(Char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글도 지난 글과 같이 아래 파일을 사용해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차트(Chart)
지난 글에서 엑셀 함수를 이용하여
연도와 학기 별로 각각 총 학생수를 구하였습니다.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번에는 보기 쉽게
연도와 학기별로 차트를 삽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jaythecode.tistory.com/31
엑셀(Excel) 한 번도 안 써본 왕초보를 위한 기초 사용법 (2) - 엑셀 함수(Excel Function)
지난번 엑셀에서의 연산, 정렬, 셀 수식에 이어서이번 글에서는 엑셀 함수 (Excel Function)에 대해서알아보겠습니다. 혹시 처음이신 분들은 아래 글 먼저 읽어보시는걸추천드립니다! 엑셀(Excel) 한
jaythecode.tistory.com
지난 글을 아직 못 보신 분들은 이전글 참고하셔서
따라오시길 바랍니다!
지금 현재 위와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데
차트를 만들기 쉽게 하기 위해서 연도별 총 학생수는
삭제하고 2024와 2025를 아래와 같이 옮겨주겠습니다.
자 그럼 엑셀에서 위 이미지 부분을 전부 스크롤해서
선택하고 상단 메뉴바에서 '삽입' 부분에 들어가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양한 차트들이 존재하는데
이번 데이터에서는 차이를 보기 편하게 '바' 형태의
차트를 사용하겠습니다.
추천 차트를 클릭하고 '묶은 세로 막대형'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엑셀에서 자동으로 차트를 생성합니다.
차트 제목을 더블 클릭해서 텍스트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세로축을 더블 클릭해서 축의 간격도
변경 가능합니다.
차트의 삽입은
원하는 영역을 드래그해서 선택하고 '삽입' 메뉴에서
원하는 차트를 선택하는 과정으로 차트를 생성
으로 요약해볼 수 있습니다.
근데 여러분들은 어떤 종류의 데이터에
어떤 종류의 차트를 사용해야 하는지 알고 계시나요?
저는 처음에는 전혀 감이 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간단하게 차트를 생성하는 방법만
알아보았지만 다음에 이어지는 글들에서는 통계에 관련된
개념들을 다루면서 어떤 변수의 종류들이 존재하는지,
변수들 조합에 따른 차트와 함수의 사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통계 변수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엑셀과 통계 (Excel&Statist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를 위한 기초 엑셀 통계 (3) - 양적 변수 활용 (Quantitative Variable) (3) | 2025.06.10 |
---|---|
초보자를 위한 기초 엑셀 통계 (2) - 질적 변수 활용 (Categorical Variable) (0) | 2025.06.09 |
초보자를 위한 기초 엑셀 통계 (1) - 통계 변수(Statistics variables) (4) | 2025.06.08 |
엑셀(Excel) 한 번도 안 써본 왕초보를 위한 기초 사용법 (2) - 엑셀 함수(Excel Function) (2) | 2025.06.06 |
엑셀(Excel) 한 번도 안 써본 왕초보를 위한 기초 사용법 (1) - 연산, 정렬, 셀 수식 (2) | 2025.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