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과 통계 (Excel&Statistic)

엑셀(Excel) 한 번도 안 써본 왕초보를 위한 기초 사용법 (2) - 엑셀 함수(Excel Function)

jay_the_code 2025. 6. 6. 16:00

지난번 엑셀에서의 연산, 정렬, 셀 수식에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엑셀 함수 (Excel Functio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혹시 처음이신 분들은 아래 글 먼저 읽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엑셀(Excel) 한 번도 안 써본 왕초보를 위한 기초 사용법 (1) - 연산, 정렬, 셀 수식

이번 카테고리에서는 날 것의 통계자료에서 유용한 정보들을추출하고 이것을 이해하기 쉽게 도와주는 통계(Statistics)에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IT쪽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유저들의

jaythecode.tistory.com

 

이번에도 지난번에 이어서 같은 예시파일을 사용하겠습니다.

왕초보엑셀example.xlsx
0.01MB

엑셀 함수 (Excel Function)

 

그럼 먼저 엑셀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함수라고 해서 복잡한 수학 연산을 떠올리시는 분이

있으실지도 모르지만 그런 복잡한 내용이 아니니

안심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자 먼저 엑셀 함수는 다양한 수학적인 계산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간단한 예시로 위 파일에서 2024년과 2025년에

수업을 들은 학생들의 총합을 구해봅시다.

 

= D2 + D3 + D4 + D5 + ... + D17
이렇게 셀에 일일히 입력해도 되지만

이것을 간단하게 도와주는 SUM()이라는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C19에 Total이라고 적고

D19에는 ' =SUM( '까지 작성하고

D2부터 D17까지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엑셀에서 자동으로 D2:D17이라고 범위를

지정해줍니다.

 

그리고 ' ) '로 괄호를 닫아주고 Enter키를

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이 학생수의 총합을

자동으로 구해주게 됩니다.

 

위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D19를

선택하면 어떤 함수와 범위를 사용하였는지

빨간 박스 표시가 되어있는 곳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수정 또한 가능합니다.

 

여기서 기억해야 할 점은

1. 총합은 SUM() 함수를 사용한다.

2. 범위 지정은 ' : ' 를 사용한다. (ex: SUM(D2:D17) )

정도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무수히 많은 함수들이 있지만 이번글에서는

최대(MAX), 최소(MIN), 조건과 함께 쓰는

SUMIF & SUMIFS 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대(MAX), 최소(MIN) 같은 경우에는

예상하시는 것과 같이 각각 MAX()MIN()

사용합니다.

 

C20에는 Largest

C21에는 Smallest라고

작성한 후에 D20, D21에

각각

= MAX(D2:D17)

= MIN(D2:D17)

을 작성하면 아래와 같이 학생수의 최대와 최소를

간단하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럼 만약에 2024년도 2학기 수강생의

총합을 구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답은 "SUMIFS() 함수를 사용한다." 입니다.

 

코딩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조건문을 사용할 때

IF구문을 잘 알고 계실 겁니다.

 

SUMIFS에서 IF는 그 조건문의 기능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조건이 한 가지 일 때는 SUMIF(),

조건이 두 가지 이상일 때는 SUMIFS()

사용합니다.

 

자 그럼 먼저 2024년에 수강한 학생의 수를 구해볼까요?

 

C23에 2024라고 작성하고

D23에는 위 이미지와 같이 작성하겠습니다.

 

여기서 첫 번째 range 부분에는 조건을 적용시킬

셀의 범위를 입력합니다.

 

지금 2024년의 학생수를 구해야 하므로

연도의 정보를 가진 C2부터 C17을 넣고

 

두 번째 criteria 부분에는 조건을 집어넣어 줍니다.

여기서는 2024년의 학생수를 구하고 있으므로

2024라고 작성합니다.

 

마지막으로 sum_range 부분에는 실제로 덧셈을

수행할 범위를 입력합니다.

 

2024년에 수강한 학생의 숫자가 궁금하므로

D2:D17의 범위를 넣어주면 엑셀에서 자동으로

C열에서 2024에 해당하는 행의 D부분의 셀값들을

더해줍니다.

 

여기까지 따라 하셨으면 이제 2025년의 수강생의

합을 SUMIF를 이용해 직접 구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결과는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겠습니다.

 

그럼 이제 조건이 2가지인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1학기에 수강한 학생의 수를 더해보겠습니다.

 

먼저 E23 셀에 1이라고 작성하고

F23에는 아래와 같이 작성하겠습니다.

 

SUMIFS를 사용할 때는 SUMIF와는 다르게

가장 먼저 덧셈을 실행할 부분의 범위

D2:D17과 같이 작성해 줍니다.

 

그리고 "조건 범위, 조건, 조건 범위, 조건, ... "

같은 방식으로 조건들을 작성하여 필요한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이해하셨다면 2024년 1학기, 2학기 그리고

2025년 1학기, 2학기의 학생수를 SUMIFS를 사용해서

구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엑셀 함수에는 이번 글에서 살펴본 함수들 이외에도

COUNT, AVERAGE, NORM.S.DIST 등등

무수히 많은 함수들이 있습니다.

 

이후에도 여러 함수들을 다루겠지만 수학적 계산이 필요할 때

검색을 통해서 적절한 함수를 사용한다면 무수히 많은 시간을

아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엑셀 함수(Excel Function)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차트(Char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