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기초 엑셀 사용법에 이어서
이번 글부터는 엑셀을 활용한 통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통계하면 어떤 것들이 먼저 떠오르시나요?
인구조사, 매출, 이용자 통계 등등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통계들을 사용합니다.
그럼 통계에 사용되는 변수들은 어떤 것들이 있고
이 변수들을 이용해서 어떤 것들을 얻어낼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항목이 어떤 변수에 해당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통계 변수 (Statistics variable)
먼저 여기서 말하는 변수는 우리가
측정하거나 관찰하는 항목을 이야기합니다.
통계 변수는 크게 질적 변수와 양적 변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질적 변수(Categorical / Qualitative)
- 양적 변수(Quantitative)
질적 변수는 영어로 Categorical / Qualitative
라고 부르는데 이름에서 추측해 볼 수 있듯이
데이터를 서로 구분되는 집단이나 범주로 나눕니다.
예시로는 국적, 성별 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양적 변수는 영어로 Quantitative 라고 부르는데
이름에서 추측해볼 수 있듯이
단위를 가진 수치적인 양을 측정합니다.
예시로는 키, 몸무게, 주차장에 있는 차량의 대수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질적 변수 (Categorical / Qualitative)
데이터를 서로 구분되는 집단이나 범주로 나누는
질적 변수는 데이터 종류에 따라 또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순서가 없는 경우는 명목형(Nominal)
- 순서가 있는 경우는 서열형(Ordinal)
명목형(Nominal)은 순서가 없는 집단이나 범주를 말하는데
예시로는 성별, 국적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서열형(Ordinal)은 자연스러운 순서가 존재하는
집단이나 범주를 말합니다.
예시로는 연령대, 교육 수준, 태어난 달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양적 변수 (Quantitative)
단위를 가진 수치적인 양을 측정하는
양적 변수는 기준에 따라 또다시 두 가지로
나눠집니다.
- 정수값을 가지면 이산형(Discrete)
- 모든 실수값을 가지면 연속형(Continuous)
이산형(Discrete)은 정수값만을 가지는 변수들을 말하는데
예를 들면 (년 단위) 나이, 들판 위 말의 수, 결함 있는 제품의 수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연속형(Continuous)은 모든 실수값을 가지는 변수들을 말하는데
예를 들면 키, 몸무게, 온도 등이 있습니다.
요약
자 그럼 지금까지 나온 변수의 종류들을 요약해보겠습니다.
- 질적 변수 (Categorical / Qualitative) : 서로 구분되는 집단 or 범주
- 명목형(Norminal) : 순서 없음 (ex: 성별, 국적)
- 서열형(Ordinal) : 교육 수준, 계절
- 양적 변수 (Quantitative) : 단위를 가진 수치적인 양
- 이산형(Discrete) : 정수 (ex: (년 단위) 나이, 결함 있는 제품의 수)
- 연속형(Continuous) : 실수 (ex: 키, 몸무게, 온도)
통계 변수는 크게 위와 같은 표로 요약할 수 있는데
변수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차트의 종류 그리고
분석하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이 개념을 익히고 어떤 데이터를 보았을 때
이 변수가 어떤 종류의 변수인지 알아내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통계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질적 변수 분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엑셀과 통계 (Excel&Statist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를 위한 기초 엑셀 통계 (3) - 양적 변수 활용 (Quantitative Variable) (3) | 2025.06.10 |
---|---|
초보자를 위한 기초 엑셀 통계 (2) - 질적 변수 활용 (Categorical Variable) (0) | 2025.06.09 |
엑셀(Excel) 한 번도 안 써본 왕초보를 위한 기초 사용법 (3) - 차트(Chart) (0) | 2025.06.07 |
엑셀(Excel) 한 번도 안 써본 왕초보를 위한 기초 사용법 (2) - 엑셀 함수(Excel Function) (2) | 2025.06.06 |
엑셀(Excel) 한 번도 안 써본 왕초보를 위한 기초 사용법 (1) - 연산, 정렬, 셀 수식 (2) | 2025.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