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 4

인터렉션 디자인 프로젝트 리뷰 (5) - 게슈탈트 원칙 (Gestalt Principle)

이번 프로젝트 진행할 때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에활용한 게슈탈트 원칙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게슈탈트 원칙(Gestalt Principle)은 인간이시각적인 정보를 어떻게 전체적인 형태로 인식하는지설명하는 이론입니다.평소에 우리는 어떤 것을 볼때 무의식적으로형태, 구조, 패턴을 조직화해서 의미 있는 전체로인식합니다.이렇게 인식하는 패턴을 정리한 이론이바로 게슈탈트 원칙입니다.근접의 원칙 (Proximity)사람들은 서로 가까이에 위치한 요소들은서로 관련이 되어있다고 인식합니다.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버튼을 보고그 옆에 문구를 확인한다면 우리는 자연스럽게그 문구를 버튼에 대한 설명으로 인식합니다. 유사성의 원칙 (Similarity)색상, 모양, 크기 등이 유사한 요소들은같은 그룹이라고 인식됩니다.예를 ..

인터렉션 디자인 프로젝트 리뷰 (4) - 프로토타입 (Prototype)

페르소나와 시나리오 그리고 스토리보드 과정까지끝낸 이후에는 위 3가지를 바탕으로 사용자 목표와사용자 상황 그리고 프로토타입을 만들었습니다.프로토타입을 제작한 후에는 프로젝트와 관련이 없는사람을 섭외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고사용자 목표와 사용자 상황만 설명해 주고 사용자가스스로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과정을 보면서피드백을 하는 과정을 진행하였습니다. 프로토타입 제작스마트워치가 높은 심박수를 탐지하면 어플리케이션에서알림이 울리고 그 알림을 수락하면 아로마 디퓨저 테라피를진행하는 과정으로 프로토타입을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습니다.프로토타입 피드백 무작위의 사용자에게 프로토타입 시연을 부탁하였고그분은 진행 흐름과 구성들의 작동법을 알아차리는 것은어렵지 않았지만 실수로 뭔가를 눌렀을 때 되돌리는 ..

인터렉션 디자인 프로젝트 리뷰 (3) - 페르소나 (Persona) & 시나리오 작성

인터뷰에 이어서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사용자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페르소나(Persona)를 제작하는 과정을가졌습니다.나이는 20대부터 60대까지로 설정하여20대 학생20대 직장인30대 자영업자40대 전업주부60대 노인5가지 페르소나를 한 명씩 맡아서 mental wellbeing을필요로 하는 사람에 대한 페르소나를 제작하였습니다. 페르소나 구성페르소나의 필수 구성 조건들이다음과 같이 있었습니다.나이 & 성별가족관계 (혼인유뮤, 자식유뮤)직장거주지인물의 간단한 일대기목표자주 사용하는 기술 (스마트폰, 컴퓨터, 스마트워치 등)취미성격요구사항페르소나 설정저는 30대 자영업자 남성을 담당하여페르소나를 제작하였습니다.30대 스타트업 대표인 남성에 대해서생각해 보니 일에 몰두하고 집중하는성격을 가졌다고 설..

인터렉션 디자인 프로젝트 리뷰 (2) - 인터뷰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이번 프로젝트는 모르는 사람에게집에서의 4가지 웰빙에 대해서 인터뷰를 진행하고팀원들의 인터뷰를 종합해서 4가지 중 하나의 웰빙을선정하여 그것에 관련된 것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인터뷰 대상가장 먼저 진행한 것은 인터뷰 대상을 선정하였습니다.우선 청소년은 인터뷰 대상으로 지정할 수 없는 조건이있었고 팀 구성원이 5명인데 한 사람당 한 인터뷰만 진행이가능하였기에 최대한 표본들이 겹치지 않게 진행하였습니다.저는 20대 초반 여성분을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인터뷰 질문무작위 인터뷰 특성상 인터뷰의 흐름을 전부 예상할 수는없었기에 꼭 필요한 핵심 질문들만 준비하고 세부적인질문은 대화를 하면서 결정하기로 하였습니다.집에서의 웰빙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필수 질문들을공통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