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5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24) - 다형성(Polymorphism)

지난번 함수 오버로딩(Method overloading)에 이어서이번글에서는 다형성(Polymorphism)에 대해서알아보겠습니다. 다형성(Polymorphism)이라는 개념을처음 접하신 분들이라면단어자체만으로는 어떠한 의미를 가졌는지감이 안 오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다형성의 정확한 개념보다는활용하는 방법 위주로 다루겠습니다.다형성(Polymorphism) 그럼 먼저 다형성(Polymorphism)의 간단한 개념에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형성은 여러가지 실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바에서 다형성은 한 가지 객체를 참조함으로써다른 여러 가지 객체를 참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형성의 가장 큰 장점은여러 객체들을 하나의 타입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것입니다. 또한 다형성의 경우 ..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23) - 함수 오버로딩(Method Overloading)

지난번 열거형(Enumeration)에 이어서이번글에서는 함수 오버로딩(Method Overloading)에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함수 오버로딩(Method Overloading) 함수 오버로딩은 함수명은 같지만매개변수의 타입 또는 개수가 다른 함수들을 말합니다.먼저 예시를 보고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class Calculator{ int add(int a, int b){ return a + b; } int add(int a, int b, int c){ return a + b + c; } double add(double a, double b){ return a + b; } double add(double a, double b, ..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22) - 열거형(Enumeration)

지난번 상수(Constant)와 static에 이어서이번글에서는 열거형(Enumeration)에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열거형(Enumeration) 먼저 열거형(Enumeration)에 대해서 설명하기에앞서서 열거형이라는 개념이 왜 탄생하게 되었는지에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class Shoes{ String brand; String name; Shoes(String brand, String name){ this.brand = brand; this.name = name;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hoes s1 = new Shoes("Nike", "AirForce1"); Shoes ..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21) - 상수(Constant) / static

지난번 예외처리(Exception)에 이어서이번글에서는 상수(Constant)와 static에 대해서알아보겠습니다.상수(Constant) 먼저 상수(Constant)의 개념에 대해서완벽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수가 사용되는상황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아래 예시를 통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은행의 대출public class Loan{ double interestRate; double year; Loan(double interestRate, double year){ this.interestRate = interestRate; this.year = year; }} 은행의 대출을 통해서 상수(Constant)의 개념을이해해 보겠습니다.위의 코드를 살펴보면 현재 i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