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글에서는 지난번 변수(variable)에 이어서 연산(Operatio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바에 기본적인 연산에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있습니다.
덧셈(addition)
먼저 덧셈(additio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아는 것과 같이 덧셈에는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아래 예시를 보면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int a = 10;
int b = 5;
System.out.println(a+b);
int c = a + b;
System.out.println(c);
자바에서 System.out.println()의 괄호 안에서도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래 예시와 같이 두 변수의 값을 더한 값을
다른 변수의 값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자바에서는 문자열 또한 덧셈기호로 합치는 것이 가능합니다.
String surName = "Hong";
String firstName = "Gil Dong";
String myName = surName + firstName;
System.out.println(myName);
위 코드를 실행시켜 보면 Hong Gil Dong이라는 출력값을
Console에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뺄셈(subtraction)
다음으로 살펴볼 연산은 뺄셈(subtraction)입니다.
뺄셈은 우리가 알고 있던 것과 내용이 다르지 않아 간단히 코드만
보여드리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int hp = 100;
int damage = 10;
int currentHp = hp - damage;
System.out.println(currentHp);
위 수식을 VScode로 실행시켜 보면 currentHp 값이 90 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곱셈(Multiplication)과 나눗셈(division)
곱셈과 나눗셈도 평소에 사용하던 연산과 다르지 않아 간단히 코드만
살펴보겠습니다.
int a = 4;
a = a * 3;
System.out.println(a); // a = 12
double b = 4.2;
b = b * 2;
System.out.println(b); // b = 8.4
실수형 데이터 타입에도 곱셈 동일하게 적용가능합니다.
int a = 14;
int b = a / 3; // "/" 기호는 몫을 구할때 사용합니다.
int c = a % 3; // "%" 기호는 나머지를 구할때 사용합니다.
System.out.println(b); // b = 4
System.out.println(c); // c = 2
나눗셈에서는 몫을 구하는 "/" 연산자와 나머지를 구하는 "%" 연산자 두 개로
나누어져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연산자는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t a = 3;
int b = 8;
int odd = a % 2;
int even = b % 2;
System.out.println(odd); // odd = 1
System.out.println(even); // even = 0
"%"를 사용하게 되면 나머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홀수와 짝수를 구별해야 하는
상황에 자주 사용됩니다.
특이한 연산자( +=, -- 등)
자바에는 몇 가지 특이한 수식이 있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아래 코드를 보면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int water = 100;
water = water + 100;
위와 같이 변수의 값을 증가시켜야 하는 상황이 가끔 있는데 이럴 때 아래와 같은 코드를 활용하면
보다 간략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int water = 100;
water += 100;
"+=" 이라는 기호는 오른쪽 값을 왼쪽 변숫값에 더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을 뺄셈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개념입니다.
int water = 200;
water = water - 100;
System.out.println(water);
int coffee = 200;
coffee -= 100;
System.out.println(coffee);
위 코드를 실행시켜 보면 위아래 변수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습니다.
곱셈과 나눗셈에도 위 개념은 동일하게 적용가능합니다.
int a = 5;
a *= 2;
System.out.println(a); // a = 10
int b = 10;
b /= 2;
System.out.println(b); // b = 10
다음으로 소개해드릴 수식은 "++" 와 "--" 입니다.
int count = 10;
count++;
System.out.println(count);
int stock = 5;
stock--;
System.out.println(stock);
위 코드를 실행시켜 보면 count는 11 그리고 stock은 4의 값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count++는 count 값에서 1을 증가시킨 것이고 stock은 count 값에서 1을
감소시킨 값입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연산자들과 유용한 수식들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java 연산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오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6) -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 (0) | 2024.09.23 |
---|---|
자바(JAVA) 기초 같이 알아보자(5) - 비교연산자와 논리연산자 (comparison and logical operator) (2) | 2024.09.21 |
자바(JAVA) 기초 같이 알아보자(4) - 연산 오차 (2) | 2024.09.18 |
자바(JAVA) 기초 같이 알아보자(2) - 변수(Variable) (4) | 2024.09.17 |
자바(JAVA) 기초 같이 알아보자(1) - 자바 프로그램 구조 (1) | 2024.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