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캡슐화(Encapsulation)에 이어서 이번글에서는
ArrayLis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ArrayList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는 Array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혹시 기억이 나지 않으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 참고해 주세요!
https://jaythecode.tistory.com/9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9) - 배열(Array)
지난번 while반복문에 이어서 이번글에서는 배열(Array)에 대해서알아보겠습니다. 추후에 Arraylist라는 것을 알아볼텐데 Array와 Arraylist는다른 개념이니 주의해주세요! 배열(Array) 먼저 배열을 이해
jaythecode.tistory.com
ArrayList
먼저 ArrayList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rrayList는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배열(Array)의 상위호환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
ArrayList의 가장 큰 특징은 크기가 가변적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배열(Array)과 달리 크기를 지정해주지 않아도 됩니다.
너무 자세한 개념은 지금 단계에서 너무 깊은 것 같아
사용법 위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rrayList 선언하기
먼저 ArrayLis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import를 해주어야 합니다.
import java.util.ArrayList;
코드 맨 윗줄에 위와 같은 코드를 삽입한 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빈 ArrayList를 선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데이터타입> 배열명 = ArrayList<>();
ArrayList<String> teammate = ArrayList<>();
}
}
ArrayList<데이터 타입> 배열명 = ArrayList<>();
ArrayList는 위와 같은 형식으로 빈 배열을 초기화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주의해야 할 것이 데이터 타입에는 int, boolean, double과 같은
기본형 타입(primitive type)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데이터 타입 자리에는 참조형 타입(reference type)이 들어가야 합니다.
int => Integer
double => Double
위와 같이 거의 유사한 형태이나 int가 아닌 Integer를 작성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배열을 선언함과 동시에 배열에 데이터를 채우는 것 또한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는 java.util.Arrays 를 import해야합니다.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ArrayList<String> teammate = ArrayList<>(Arrays.asList("mark", "jordan", "tom"));
for(String s : teammate){
System.out.println(s);
}
}
}
Arrays.asList()를 사용해서 초기화와 동시에 ArrayList안에 데이터를 집어넣는 것이 가능합니다.
데이터 삽입, 수정, 제거 (add, modify, remove)
그럼 ArrayList의 데이터 삽입(add)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ArrayList<Integer> num = ArrayList<>();
// 데이터 삽입은 add()를 이용
num.add(1);
num.add(2);
num.add(3);
}
}
데이터는 add()메소드로 삽입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데이터 수정(modify)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ArrayList<String> names = ArrayList<>();
names.add("Tom");
names.add("Mike");
names.add("James");
for(String s : names){
System.out.println(s);
}
// Tom Mike James
names.set(1, "Jordan");
for(String s : names){
System.out.println(s);
}
// Tome, Jordan, James
}
}
위와 같이 set ( 인덱스 번호, 값(value) ) 메소드를 이용해서 원하는 인덱스의
데이터 값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음으로 데이터를 삭제(remove)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ArrayList<String> drink = ArrayList<>(Arrays.asList("Beer", "Vodka", "Wine"));
System.out.println(drink);
// {"Beer", "Vodka", "Wine"}
drink.remove(1);
System.out.println(drink);
// {"Beer", "Wine"}
}
}
배열의 삭제는 remove(인덱스 번호) 메소드를 이용하여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ArrayList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기초단계이다 보니 심화 개념보다는 사용법에 집중하여
작성해 보았습니다.
크기가 고정된 Array와 크기가 가변적이라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ArrayList를 적절히 사용하여 시나리오에 맞게
데이터를 관리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음 글에서는 ArrayList와 Array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18) - HashMap (2) | 2024.12.29 |
---|---|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17) - Array(배열)과 ArrayList의 차이 (2) | 2024.10.19 |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15) - 캡슐화(Encapsulation) (4) | 2024.10.05 |
자바(JAVA) 기초 함께 알아보자(14) - 접근제한자(Access modifier) public/private (0) | 2024.10.04 |
자바(JAVA)기초 함께 알아보자(13) - 자바 클래스(class) / 오브젝트&인스턴스(object & instance) (2) | 2024.09.29 |